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최선 기자 나와 있습니다. '식지 않은 떡볶이'. 경기도 이천 쿠팡물류센터 화재 때 이재명 경기지사의 떡볶이 먹방 논란을 말하는 거죠?<br> <br>네. 어제 이재명 경기지사가 SNS에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은 행동이었다고 사과를 했는데도 논란은 식지 않고 있는데요, <br> <br>당 안팎 비판 여전합니다. <br><br>Q. 여당 대선 주자들은 잠잠한데 야당 대선 주자들은 계속 비판하고 있어요. 사과 해도 끝나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. <br><br>수년 전부터 이 지사가 반복적으로 꺼내는 말이 있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경기지사 (지난달)] <br>"저는 3년 동안 정말로 도지사의 1시간은 1380만 시간의 가치가 있다는 생각으로 한 순간도 낭비하지 않고 어떻게 좀 더 행복하게 해드릴까 이런 고민들을 하고 살았습니다." <br> <br>[이재명 / 당시 성남시장 (2015년)] <br>"5000만 살림을 책임지는 대통령의 1시간은 5000만 시간의 가치가 있죠. 그래서 공무원인거죠."<br> <br>야당은 세월호 참사 당시 이 지사의 언행과 비교하며 '관내 참사 중 어떻게 웃으며 먹방을 찍을 수 있느냐'고 심성 문제를 지적했습니다. <br><br>윤희숙 의원은 "사람이 죽어가는데 먹방을 찍을 수 있는 비정상적 인간성, 권력에 대한 병적인 집착이 본질"이라고 꼬집었습니다. <br> <br>유승민 전 의원 측은 "참사 중 관외에서 먹방을 찍었던 무개념 행동에는 변명이 있을 수 없다"며 지사직 사퇴를 요구했습니다.<br><br>Q. 이런 지적이 민주당 당원들 사이에서도 나오고 있다면서요.<br> <br>오늘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에는 이런 글들이 올라았습니다. <br><br>당원들은 "남자 박근혜 소리 듣는 자가 민주당 후보를 할 수 없다"고 노골적으로 비판했고 "SNS에 낸 대로라고 답하는 게 대통령 후보냐"며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.<br><br>[이재명 / 경기지사 (어제)] <br>"첫번째 질문은 제가 아까 페이스북에 낸대로 그냥 받아주시면 좋겠고요"<br> <br>평소 계곡정비, 방역수칙 위반 업소 점검 등 현장 행보를 강조해온 이 지사. <br> <br>오늘 먹방 비판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는 언급을 피했습니다. <br><br>Q. 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‘싸늘한 민지’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MZ세대를 의인화한 민지를 앞세워서 청년세대 공략에 나섰잖아요?<br> <br>2030세대에게 정책 제안을 받겠다면서 일명 ‘민지야 부탁해’ 영상을 공개했는데요. <br><br>”민지한테 연락이 왔어. 채용 공고 나는 곳이 이렇게 없어서 어떡하나. 애 낳고 싶어도 이게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간다는 거야. 야, 민지가 해달라는데 한번 좀 해보자!“<br><br>Q. 영상이 올라온 지 하루 만에 조회수가 12만회를 넘었더라고요. <br><br>윤 전 총장 측은 "지금까지 본적 없는 후보의 색다른 모습이 비춰졌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> <br>댓글도 4천 개가 넘게 달렸는데요. <br><br>지지자들의 응원 댓글도 많지만 “MZ세대인 이준석 대표 말부터 잘 들어라” “MZ세대가 원하는 건 이런 게 아니다” “MZ세대 표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” 같은 비판적인 댓글도 적지 않았습니다.<br><br>MZ세대인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는 SNS에 “어른이 청년에 대해 아는 척 하는 거 별로“라면서 “MZ세대는 반말 듣는 거 안 좋아한다”고 썼습니다. <br><br>Q. 윤 전 총장 영상으로 민주당 대선주자인 정세균 전 총리가 소환되기도 했어요? <br><br>정 전 총리가 선글라스에 가죽점퍼를 입고 MZ세대를 따라했던 영상이 떠오른다는 반응인데요. <br> <br>또 다른 여당 대선주자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MZ세대를 겨냥한 춤 영상을 공개했었죠. <br><br>”얼른 일어나서 춤추지 않고“ <br><br>Q. 대선후보들이 젊은층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고 노력하는 건 좋지만요. 너무 관심끌기에만 집중한다는 비판도 있어요. <br><br>정작 중요한 MZ세대 민심 파악에는 소홀하다는 건데요. <br> <br>MZ세대를 따라하면 따라할수록 오히려 세대 차이가 드러나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입니다. 동냥이냐 성과냐. 백신 수급을 두고 여야가 또 다투고 있죠.<br><br>루마니아에서 모더나 백신 45만회 분을 스와프 방식으로 도입하는 것을 두고 여야 평가가 갈렸습니다. <br> <br>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"졸지에 백신처리국이 됐다"고 했고, 어제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"K방역을 자화자찬하더니 백신 거지가 됐느냐"고 비판했는데요, <br> <br>민주당 이용빈 대변인은 "국제공조도 흠집내며 외교적 결례를 저지르는 야당 행태가 부끄럽다"고 반격했습니다. <br> <br>국민들은 이런 정쟁보다는 국민 건강을 위해 여야가 한 목소리를 내주길 바랄 것 같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